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해외 순방 자료 찾기

뒤로가기

한국·인도네시아 정상회담

무거운 것은 함께 메고, 가벼운 것은 함께 들자
  • 실질적인 경제협력의 제도적 기반 조성
  • 상생 협력 의지 재확인 및 비즈니스 관계 확대의 계기 마련
  • 한국-인도네시아 정상 공동성명 채택
  •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및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에 대한 지지 확보
  •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공고한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
확대정상회담•2013년 10월 12일

우리 두 정상은 지난 40년간의 협력을 토대로 정치·안보, 경제·통상, 사회·문화 등 제반 분야에서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더욱 내실 있고 호혜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구체 방안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했다.

그 결과로 오늘 양국 정상 공동성명을 채택하게 되었음을 뜻깊게 생각한다.

이 공동성명이 향후 5년간 한국-인도네시아 관계 격상의 기본틀이 될 것 이라고 확신한다. <공동성명 모두발언 中>

단독정상회담 및 확대정상회담

오늘 채택하게 된 공동성명을 이정표로 삼아서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가 더욱 내실 있고 호혜적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합니다. <박근혜 대통령, 확대정상회담 中>
나는 한국 대통령의 방문이 두 나라간의 우정과 협력의 증진을 위한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인도네시아 대통령, 협정서명식 中>

단독정상회담•2013년 10월 12일
  • ‘한국-인도네시아 협력, 교역량 두 배 증가 합의’ - 인도네시아, Kompas
  • ‘한국-인도네시아, 100억 규모 투자 양해각서 체결’ - 인도네시아, Jakarta Post
  • ‘K-POP 하이라이트, 양국 정상 간 만남’ - 인도네시아, Jakarta Post
  •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공략에 나선 한국’ - 프랑스, Le Figaro

공동기자회견 및 협정서명식

한국-인도네시아 두 정상은 공동성명을 채택해 향후 양국 관계 격상의 기본 틀과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공동성명은 정치·안보, 경제·통상, 사회·문화 협력을 아우르는 ‘전략적 동반자관계 내실화’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및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북핵 문제’, ‘한·ASEAN 관계’ 등을 포함한 지역·국제 무대에서의 협력을 포괄하고 있다.

공동기자회견•2013년 10월 12일

공동성명 주요 내용

    정치·안보

  • 정상 방한 초청 등 고위급인사 교류 활성화
  • 국방·방산 분야 협력 증진 및 국방협력 협정 체결
  •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및 동북아 평화협력구상 지지 확보

    경제·통상

  • 2015년 500억불, 2020년 1000억불 교역 목표 합의
  • 한국-인도네시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연내 체결 합의
  • 경제분야 MOU 체결(경제특구 개발 강화/ 휴양생태관광/ 창조경제)
  • 100억 달러 규모 통화스와프 합의 및 금융안전망 강화 협의
  • 양국간 신재생 에너지 분야 호혜관계 구축
  • 환경·농업·산림 분야 협력 증진

    사회·문화

  • 공공외교·교육 분야 교류 확대
  • 인적교류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협정서명식•2013년 10월 12일

협정서명식 주요 내용

  • 산업통상자원부(한국)와 경제조정국(인도네시아) 간 경제협력 양해각서 체결
  • 양국 정부간 국방협력 협정서명식 진행
  • 한국과 인도네시아 간 산림휴양과 생태관광 관련 양해각서 체결
  • 문화부(한국)와 관광창조경제부(인도네시아) 간 창조산업협력 양해각서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