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해외 순방 자료 찾기

뒤로가기

2016

박근혜 대통령
아프리카 3개국 국빈방문

한·우간다 비즈니스 포럼

비즈니스 포럼 • 20160529 비즈니스 포럼 • 20160529

“우간다의 수도인 캄팔라의 유래는 현지어로 임팔라의 언덕(Akasozi K’empala)에서 나왔다고 들었습니다. 임팔라가 빠르게 질주하면서도 높게 도약하듯이 양국 기업인들도 오늘 포럼을 계기로 새로운 비즈니스를 빠르게 모색하고, 크게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박근혜 대통령>

민주화와 함께 급격한 경제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희망의 땅 아프리카의 중심인 우간다를 국빈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양국 수교 50여 년을 맞이하여 개최된 <한·우간다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양국 기업인 250명과 함께 양국 경제 협력 관계를 확대,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우간다는 최근 연 5% 이상의 경제성장률 등을 바탕으로 활기차고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행사를 공동 주관한 대한상공회의소 박용만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양국 교역은 아직 3천만 달러 수준으로 양국의 협력 의지와 우간다의 교역규모를 감안한다면 충분치 않은 규모”라고 말하며, “비즈니스 포럼을 통해 양국이 본격적인 협력의 물꼬를 터나가자”고 제안했다. 우간다 민간경제협의체 패트릭 비타투레 회장 또한 “양국이 지금까지 이어온 우화관계를 바탕으로 농업 뿐 아니라 ICT 분야 등까지 협력을 확대하자”고 했다.

이어 무대에 오른 박근혜 대통령은 축사를 통해 “우간다는 풍부한 수력자원과 비옥한 토지, 다양한 광물자원과 함께 최근에는 석유까지 발견되는 등 잠재력이 무궁무진한 나라”라고 평가하고, 양국이 경제협력을 확대·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비즈니스 포럼 • 20160529 비즈니스 포럼 • 20160529

1. 농촌개발 협력
2. ICT, 공항, 전력 등 인프라 분야 협력
3. 보건의료, 콘텐츠 등 협력분야 다각화

또, 박 대통령은 “향후 제약과 의료기기, 콘텐츠 분야로의 협력 확대를 통해 우간다와 동아프리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비즈니스 포럼 개최 다음날인 5월 30일에는 <1:1 비즈니스 상담회>가 병행 개최됐다. 이 날 행사에는 우리기업 27개사와 아프리카 바이어 211개사가 참여하여 모바일 결재 등 9건 315만 불(38억 원)의 실질 성과가 창출됐는데 이는 지난해 한국의 대(對) 우간다 수출 2천만 불의 15%가 넘는 규모로, 양국 진출 및 경제협력에 대한 양국 기업인들의 관심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고 평가된다.

비즈니스 포럼 • 20160529 비즈니스 포럼 • 20160529